일본 집의 구조 LDK

일본 집의 구조에 대해서 알아보고자합니다.

먼저 일본에서 집을 구할 때 눈에 띄는 것이 LDK인데요. 보통 숫자와 같이 붙여져서 불립니다. 건물의 단위 는 아니지만 nLDK를 보고 대략적인 집의 구조나 크기가 감이 잡힙니다.

LDK

LDK란 Living 리빙 リビング 거실 Dining 다이닝 ダイニング 식사하는곳 Kitchen 키친 キッチン 부엌 입니다. LDK의 앞에 붙이는 숫자는 방의 갯수를 뜻합니다. 3LDK이면 방이 3개가 있고 부엌과 거실 식사하는 공간이 있는 집입니다. 일반적인 가정집이 이정도 합니다.

ロフト

ロフト 일본 집에는 ロフト 로프트라고 해서 복층식으로 된 공간도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원룸같이 작은 집에서 공간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게 한 것인데요. 이 구조의 단점은 경우에 따라 높이가 낮아서 불편하다는 점과 에어컨이 잘 안들어와서 여름에 덥고 겨울에 추울 수 있다고 하네요.

床下収納

床下収納 라고해서 바닥에 수납할 수 있는 공간이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주로 一個建て 단독주택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모든 집이 있는 것은 아니고 있기도라고 없기도 합니다. 우체국박스 큰 사이즈 정도의 공간 정도입니다.

욕실과 화장실

욕실과 화장실. 일본인들은 대부분 욕실과 화장실이 분리되는 것을 선호합니다. 한국의 경우 화장실과 욕실이 분리가 안되어있고 같은 공간에 있는 경우가 있죠. 심지어 세탁기가 같이 있는 경우도 있는데 일본 가정집의 경우 대부분 따로따로 있습니다. 아마 위생 때문인것 같기도하고 씻고 있을 때 다른사람은 화장실을 쓸 수 있는 점도 좋은 것 같습니다.

자동욕조

자동욕조 일본의 가정집에는 욕조가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때문에 대중목욕탕이 점점 줄어들고 있다고할 정도 입니다. 근데 이 가정욕조의 특징이 버튼 하나만 누르면 내가 원하는 물의 양과 내가 원하는 온도로 욕조에 물이 만들어지는 것입니다. 이게 처음엔 뭐 그런게 필요할까 생각이 드는데 몇번 쓰다보면 이거 없이는 욕조를 못 쓸 정도로 매우 편합니다.

일본 아파트와 맨션

아파트와 맨션. 한국에선 보통 가정집이 단독주택, 빌라, 아파트 이렇게 크게 세가지로 구성되는 것 같은데 일본의 경우 크게 一個建て 단독주택, アパート 아파트, マンション 맨션 이렇게 세가지로 나뉩니다. 딱 잘라서 말하기는 어렵지만 가장 쉽게 이해하자면 일본에서 말하는 아파트는 한국에서 말하는 빌라, 일본에서 말하는 맨션은 한국에서 말하는 아파트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일본의 아파트는 싼 이미지가 있고 빌라처럼 층수가 그리 많지 않습니다. 또한 일부 일본의 아파트는 건물 전체의 주인이 한명인 경우도 있습니다. 맨션의 경우는 다 그런 것은 아닙니다만 대체로 한국의 아파트와 비슷하고 단지를 형성하는 경우도 있고 대부분 고가의 건물입니다. 한가지 아쉬운것은 맨션 즉 한국의 아파트 같은 건물일지라도 주차장이 완비가 안되어있는 경우가 가끔 있습니다. 특히 도쿄 같이 큰 도시의 경우에는 땅값이 비싸서 없거나 유료 주차장을 정액으로 끊는 경우도 있습니다. 지진이나 헤일의 우려로 지하주차장이 드문 일본에서는 어쩔 수 없는 것 같습니다.

일본 단독주택 종류

一個建て 단독주택도 종류가 어느정도 있습니다. 제가 전문가는 아니다보니 간단히 설명해드리면 2,3층 으로 된 건물과 1층이지만 넓게 지어진 건물 平屋도 있습니다. 2층 건물이라고는하지만 일본 집 구조상 수납장등으로 평수보다 더 좁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집은 역시 실제로 봐야압니다.

일본 평수 단위 다다미

평수. 일본도 평수를 쓰긴합니다. 그냥 m^3 나오는 경우도 있고 다다미를 단위로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다다미 몇장 이런식이죠. 간단히 계산하면 1평은 다다미 2장정도 된다고합니다. 2畳(니죠-)가 됩니다.

다음에 또 생각나면 여기에 없는 내용을 위주로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궁금하신점이나 지적 다 좋으니 댓글로 남겨주시면 감사합니다.

 

댓글 달기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Scroll to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