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IT 관련

og:image 로컬 환경에서 확인하는 방법

개요 로컬 환경에서 웹사이트를 개발하면서 Open Graph 메타 태그를 확인하고 싶으신가요? "Localhost Open Graph Debugger"는 바로 그런 기능을 제공하는 크롬 확장 기능입니다. 이 확장 기능을 사용하면 로컬로 호스팅되는 웹사이트의 Open Graph 메타 태그를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이 확장 기능은 메타 태그를 임시로 호스팅하기 때문에, ngrok과 같은 로컬호스트 터널링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메타 태그를 …

og:image 로컬 환경에서 확인하는 방법 더 보기 »

Vim 팁: 특정 패턴을 가진 라인 삭제 방법

Vim에서 특정 패턴이 있는 라인을 삭제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가장 간단한 방법 중 몇 가지를 소개합니다. 삭제할 패턴을 검색한 후, 검색된 패턴을 포함하는 라인을 삭제하는 방법과 :g/pattern/d 명령어를 사용하여 패턴을 포함하는 모든 라인을 삭제하는 방법을 살펴봅니다. 이를 통해 원하는 패턴의 라인을 쉽게 삭제할 수 있습니다.

Bulma를 이용한 요소 정렬 – Alignment 클래스 활용법

이번 글에서는 Bulma에서 제공하는 Alignment 클래스를 사용하여 요소를 원하는 위치에 정렬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합니다. 수직/수평 정렬 예제와 그리드 레이아웃 클래스도 함께 다루며, 프론트엔드 개발자나 웹디자인에 적합합니다.

Bulma Spacing: 간편하게 적용하는 각 요소의 여백 조절 방법

Bulma Spacing 클래스는 Bulma에서 제공하는 각 요소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클래스로,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며 나중에 수정 및 유지보수를 용이하게 합니다. 또한, Bulma Spacing 클래스를 사용하여 디자인을 쉽게 적용할 수 있으며, 검색 엔진 최적화를 위해서도 중요한 요소입니다. Bulma Spacing 클래스를 사용할 때에는 적절한 사용법과 각 요소들 간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하면서, 페이지 디자인과 사용자 경험을 고려해야 합니다.

맥 유저라면 알아야할 커맨드 caffeinate

caffeinate는 맥에 기본적으로 설치되어있는 커맨드이다. caffeinate를 실행하면 실행 중에는 맥이 절전모드에 들어가지 않는다. 맥을 계속 킨 상태로 유지하고 싶을 때 유용하다. 여러 옵션이 있는데 주로 사용할 만한 옵션으로는 t 옵션이 있다. t옵션을 이용하면 해당 값 만큼 caffeinate가 실행 되며 실행이 종료되면 절전모드로 들어갈 수 있다. 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다. 터미널 실행(command + 스페이스 terminal.app 검색 …

맥 유저라면 알아야할 커맨드 caffeinate 더 보기 »

맥, 리눅스 터미널 에러 (zsh compinit)

아래의 내용처럼 터미널을 들어가면 zsh compinit: insecure directories and files, run compaudit for list. 가 뜨는 문제가 있었다. 아래는 .zshrc 의 일부분인데 여기의 10행 부분을 주석화 시키니 상기의 문제가 나타나지 않았다. 아래는 주석화 한 모습 일단 사용하는데 문제는 없는데 찜찜하다..

Go 언어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 sql-migrate 사용법

개요 go언어의 데이터베이스(DB) migration 툴로 sql-migrate를 사용하여 개발함에 있어 명령어와 동작사양 등을 간단하게 적음. 목록 공식 리포지토리 특징 인스톨 설정파일 명령어 마이그레이션 실행 관리 테이블 마이그레이션 파일 삭제 혹은 파일명 수정 시 해야할 것 공식 리포지토리 https://github.com/rubenv/sql-migrate 특징 CLI툴 SQLite, PostgresSQL, MySQL, Oracle 등의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지원 스키마 작성, 변경, 롤백 기능 소스코드에서 실행 제어 …

Go 언어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 – sql-migrate 사용법 더 보기 »

Scroll to Top